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MBC 대학가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MBC 대학가요제는 1977년부터 2019년까지 MBC에서 개최된 대학생들의 음악 경연 프로그램이다. 샌드페블즈의 '나 어떡해'를 시작으로 무한궤도의 '그대에게', 전람회의 '꿈 속에서' 등 많은 히트곡과 신인 음악가를 배출하며 대중음악계에 기여했다. 1990년대 이후 상업화와 경쟁 심화, 대학 문화의 변화, 대중의 취향 변화 등으로 인해 점차 위상이 약화되었지만, 신인 발굴과 대중음악 다양성 증진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방송의 음악 프로그램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 문화방송의 음악 프로그램 - MBC 강변가요제
    MBC 강변가요제는 1979년 시작되어 1980년대까지 신인 가수들의 등용문으로 인기를 누렸으나 2001년 폐지, 2021년 부활하여 새로운 형식으로 이어지는 MBC의 대표적인 신인 가수 발굴 프로그램이다.
  • 197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MBC 뉴스데스크
    MBC 뉴스데스크는 1970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저녁 뉴스 프로그램으로, 앵커 시스템 도입 등 새로운 형식을 제시하며 높은 인기를 누렸으나 시청률 하락과 공정성 논란을 겪기도 했으며 현재 평일 저녁 7시 40분, 주말 저녁 7시 55분에 방송된다.
  • 197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장학퀴즈
    1973년 MBC에서 시작하여 EBS로 옮겨 대한민국 최장수 퀴즈 프로그램이 된 《장학퀴즈》는 고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진행 방식과 특집 방송, 한중 청소년 교류 등을 통해 사랑받았으나 2024년 7월 종영 예정이다.
MBC 대학가요제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방송 채널MBC TV
장르음악
방송 기간1977년 ~ 2012년, 2019년 ~
방송 횟수37부작
제작진
기획MBC 예능본부(1976년 ~ 2012년), MBC 플러스(2019년 ~ )
기타
관련 정보MBC '대학가요제' 36년만에 폐지된다

2. 역대 대상 수상자 및 수상곡

(1977)9월 3일정동문화체육관[3]샌드페블즈
(이영득, 김영국, 여병섭, 최광석, 김민수)〈나 어떡해〉서울대학교2
(1978)9월 9일썰물
(성영호, 문성주, 전종배, 조의환, 김성근, 윤병진, 장동인)〈밀려오는 파도 소리에〉부산대학교3
(1979)9월 11일김학래, 임철우〈내가〉명지대학교4
(1980)12월 22일이범용, 한명훈〈꿈의 대화〉연세대학교5
(1981)9월 11일정오차〈바윗돌〉동국대학교6
(1982)9월 12일조정희〈참새와 허수아비〉경원대학교7
(1983)10월 29일잠실체육관에밀레
(김대익, 김광엽, 심재경)〈그대 떠난 빈 들에 서서〉서강대학교8
(1984)10월 29일이유진〈눈물 한 방울로 사랑은 시작되고〉성균관대학교9
(1985)12월 21일MBC공개홀높은음자리
(김장수, 임은희)〈바다에 누워〉동의대학교10
(1986)12월 19일잠실체육관유열〈지금 그대로의 모습으로〉한국외국어대학교11
(1987)12월 19일MBC공개홀작품하나
(공민수, 김정아)〈난 아직도 널〉부산외국어대학교12
(1988)12월 24일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무한궤도
(신해철1, 조형곤2, 조현찬2, 김재홍3, 조현문3)〈그대에게1 서강대학교2 연세대학교3 서울대학교13
(1989)12월 23일장충체육관전유나〈사랑이라는 건〉경성대학교14
(1990)12월 1일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소나기
(정희석, 장철주, 성준혁, 신은상, 김백진, 나현욱)〈누군가〉연세대학교15
(1991)12월 21일입 셋 노래 하나〈추억의 거리〉동의대학교16
(1992)12월 12일장충체육관최영수〈어둠 속에서〉경남대학교17
(1993)12월 11일잠실체육관전람회
(김동률, 서동욱)〈꿈 속에서〉연세대학교18
(1994)10월 15일고려대학교이한철〈껍질을 깨고〉영남대학교19
(1995)10월 14일이화여자대학교에밀레
(윤성용, 장태하, 정태영, 최승현)〈살아가며〉서강대학교20
(1996)10월 19일한양대학교열두번째 테마
(임준홍3, 마영준1, 최은영2, 조영수2)〈새로나기〉1 성균관대학교2 연세대학교3 한양대학교21
(1997)10월 25일연세대학교전선민〈꿈의 초상〉울산대학교22
(1998)10월 17일서강대학교로얄젤리
(민정범1, 이상준2)〈사랑의 죄〉1 서울대학교2 서울시립대학교23
(1999)10월 16일경희대학교설지현〈작전 타임〉창원전문대학24
(2000)10월 21일이화여자대학교허병욱〈푸념〉이화여자대학교25
(2001)10월 20일성균관대학교소나기
(김희영, 왕진원, 정주영, 남다희, 배기은, 이선영, 박소영)〈청춘가〉연세대학교26
(2002)10월 19일숭실대학교안세진〈you will find me〉경북대학교27
(2003)10월 4일서울대학교Solenoid
(이상민, 이창욱)〈강요〉28
(2004)11월 13일경희대학교Scat
(이예진, 박지영, 김고은, 김니나, 김샛별, 방새샘, 김윤지, 정미란, 유혜인, 임효진, 문경은)〈Stop〉수원여자대학29
(2005)10월 15일KAIST 한국과학기술원Ex
(이상미1, 박광래1, 박동휘1, 방지연2, 공연준3)〈잘 부탁드립니다〉1 경북대학교2 대구대학교3 영남대학교30
(2006)9월 30일경북대학교JJMP
(박진호, 지미선)〈21살 이야기〉경희대학교31
(2007)10월 6일단국대학교B2
(김예지, 이정임, 양송이, 이나래, 신선미, 이리라, 김지원, 차은실, 심혜진, 장은희)〈Y〉한양여자대학32
(2008)10월 4일전북대학교파티캣츠
(오장석3, 이소현3, 안성미3, 한아람3, 윤아름3, 오경록3, 곽호민3, 정휘욱3, 김성유3, 배주원3, 박만수3, 김현우3, 홍미경3, 양희정3, 강민구2, 이상규1)〈No turning back〉1 나사렛대학교2 단국대학교3 백석대학교33
(2009)9월 25일인천대학교이대 나온 여자
(오예리, 서아현)〈군계무학〉이화여자대학교34
(2010)11월 26일덕성여자대학교이인세〈With You〉한림대학교[4]35
(2011)11월 24일안동대학교Plain note
(진민호, 최영, 김진수, 이종한)〈백조의 노래〉국민대학교36
(2012)11월 8일일산 MBC 드림센터신문수〈넥타이〉광운대학교37
(2019)10월 5일일산호수공원펄션(PURSEAN)
(박마성1, 최홍2, 심재광2, 김범수2)〈너만이〉1 동아방송예술대학교2 명지대학교


2. 1. 제1회 (1977) ~ 제10회 (1986)

(1977)9월 3일정동문화체육관[3]샌드페블즈
(이영득, 김영국, 여병섭, 최광석, 김민수)〈나 어떡해〉서울대학교2
(1978)9월 9일썰물
(성영호, 문성주, 전종배, 조의환, 김성근, 윤병진, 장동인)〈밀려오는 파도 소리에〉부산대학교3
(1979)9월 11일김학래, 임철우〈내가〉명지대학교4
(1980)12월 22일이범용, 한명훈〈꿈의 대화〉연세대학교5
(1981)9월 11일정오차〈바윗돌〉동국대학교6
(1982)9월 12일조정희〈참새와 허수아비〉경원대학교7
(1983)10월 29일잠실체육관에밀레
(김대익, 김광엽, 심재경)〈그대 떠난 빈 들에 서서〉서강대학교8
(1984)10월 29일이유진〈눈물 한 방울로 사랑은 시작되고〉성균관대학교9
(1985)12월 21일MBC공개홀높은음자리
(김장수, 임은희)〈바다에 누워〉동의대학교10
(1986)12월 19일잠실체육관유열〈지금 그대로의 모습으로〉한국외국어대학교



1회에서는 서울대학교의 샌드페블즈가 〈나 어떡해〉로 대상을 수상하며 대학가요제의 화려한 시작을 알렸다.[3] 2회에서는 부산대학교의 썰물이 〈밀려오는 파도 소리에〉, 3회에서는 김학래임철우가 〈내가〉, 4회에서는 이범용, 한명훈이 〈꿈의 대화〉, 5회에서는 정오차가 〈바윗돌〉, 6회에서는 조정희가 〈참새와 허수아비〉로 대상을 수상했다.

7회에서는 서강대학교의 에밀레가 〈그대 떠난 빈 들에 서서〉, 8회에서는 이유진이 〈눈물 한 방울로 사랑은 시작되고〉, 9회에서는 높은음자리가 〈바다에 누워〉, 10회에서는 유열이 〈지금 그대로의 모습으로〉로 대상을 수상하며 1980년대 대학가요제의 황금기를 이어갔다.

2. 2. 제11회 (1987) ~ 제20회 (1996)

(1987)12월 19일MBC공개홀작품하나
(공민수, 김정아)〈난 아직도 널〉부산외국어대학교12
(1988)12월 24일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무한궤도
(신해철1, 조형곤2, 조현찬2, 김재홍3,
조현문3)〈그대에게1 서강대학교2 연세대학교3 서울대학교13
(1989)12월 23일장충체육관전유나〈사랑이라는 건〉경성대학교14
(1990)12월 1일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소나기
(정희석, 장철주, 성준혁, 신은상, 김백진,
나현욱)〈누군가〉연세대학교15
(1991)12월 21일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입 셋 노래 하나〈추억의 거리〉동의대학교16
(1992)12월 12일장충체육관최영수〈어둠 속에서〉경남대학교17
(1993)12월 11일잠실체육관전람회
(김동률, 서동욱)〈꿈 속에서〉연세대학교18
(1994)10월 15일고려대학교이한철〈껍질을 깨고〉영남대학교19
(1995)10월 14일이화여자대학교에밀레
(윤성용, 장태하, 정태영, 최승현)〈살아가며〉서강대학교20
(1996)10월 19일한양대학교열두번째 테마
(임준홍3, 마영준1, 최은영2, 조영수2)〈새로나기〉1 성균관대학교2 연세대학교3 한양대학교


2. 3. 제21회 (1997) ~ 제30회 (2006)

(민정범1, 이상준2)〈사랑의 죄〉1 서울대학교2 서울시립대학교231999설지현〈작전 타임〉창원전문대학242000허병욱〈푸념〉이화여자대학교252001소나기
(김희영, 왕진원, 정주영, 남다희, 배기은,
이선영, 박소영)〈청춘가〉연세대학교네티즌 인기상 신설262002안세진〈you will find me〉경북대학교272003Solenoid
(이상민, 이창욱)〈강요〉서울대학교282004Scat
(이예진, 박지영, 김고은, 김니나, 김샛별,
방새샘, 김윤지, 정미란, 유혜인, 임효진,
문경은)〈Stop〉수원여자대학292005Ex
(이상미1, 박광래1, 박동휘1, 방지연2,
공연준3)〈잘 부탁드립니다〉1 경북대학교2 대구대학교3 영남대학교302006JJMP
(박진호, 지미선)〈21살 이야기〉경희대학교


2. 4. 제31회 (2007) ~ 제37회 (2019)

(김예지, 이정임, 양송이, 이나래, 신선미, 이리라, 김지원, 차은실, 심혜진, 장은희)〈Y〉한양여자대학[4]322008전북대학교파티캣츠
(오장석3, 이소현3, 안성미3, 한아람3, 윤아름3, 오경록3, 곽호민3, 정휘욱3, 김성유3, 배주원3, 박만수3, 김현우3, 홍미경3, 양희정3, 강민구2, 이상규1)〈No turning back〉1 나사렛대학교2 단국대학교3 백석대학교332009인천대학교이대 나온 여자
(오예리, 서아현)〈군계무학〉이화여자대학교342010덕성여자대학교이인세〈With You〉한림대학교[4]352011안동대학교Plain note
(진민호, 최영, 김진수, 이종한)〈백조의 노래〉국민대학교362012일산 MBC 드림센터신문수〈넥타이〉광운대학교372019일산호수공원펄션(PURSEAN)
(박마성1, 최홍2, 심재광2, 김범수2)〈너만이〉1 동아방송예술대학교2 명지대학교



2000년대 후반부터 여러 오디션 프로그램의 인기로 인해 대학가요제의 영향력이 점차 감소하였다.

3. 역대 기타 수상작

MBC 대학가요제에서는 대상을 받지 못했어도, 대중에게 큰 사랑을 받거나 음악적으로 의미가 있는 곡들이 많았다. 대표적인 곡으로는 1980년 샤프의 〈연극이 끝난 후〉, 1993년 전람회의 〈꿈 속에서〉 등이 있다.

3. 1. 연도별 기타 수상작 (1977~2019)


4. 역대 MC

연도MC
1977년이수만, 명현숙
1978년이수만, 임예진
1979년이수만, 임예진
1980년이수만, 왕영은
1981년이택림, 임예진
1982년차인태, 최경미
1983년이덕화, 왕영은 (스페셜 MC 김병조)
1984년이택림, 김보경 (스페셜 MC 이용식 <1부>, 김병조 <2부>)
1985년이덕화, 신현숙 (스페셜 MC 박세민 <1부>, 김병조 <2부>)
1986년이택림, 신현숙
1987년이택림, 권재희
1988년이택림, 김은주
1989년이택림, 김희애
1990년이택림, 김은주
1991년이수만, 유열
1992년이수만, 노사연
1993년이수만, 이문세
1994년이훈, 박소현 (보조 MC 이병헌, 이홍렬)
1995년신동호, 노영심
1996년이문세
1997년이문세
1998년임백천, 명세빈, 이수만, 임예진
1999년이문세
2000년이문세
2001년배철수, 박경림
2002년윤도현, 차태현
2003년차태현, 이효리 (보조 MC 김제동)
2004년김제동, 이효리
2005년김용만, 이효리
2006년김성주, 이효리
2007년차태현, 이효리
2008년타블로, 이효리, 오상진
2009년알렉스, 이효리
2010년배철수, 이효리
2011년정재형, 이효리
2012년이적, 수지
2019년이창민, 예은


5. 평가 및 논란

대학가요제는 초기에 참신한 노래와 신인 발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대학생의 상품화라는 비판도 받았다.[5] 1990년대에는 지나친 상업화와 경쟁적인 가요제 개최로 수준 저하가 지적되기도 했다.[6] 이후 대중의 무관심이 심화되었는데, 대학 문화의 변화, 대학 특수성 희석, 대중 취향 변화, 가요계 진출 경로 다양화, 가요제 권위 상실, 실험적 창작곡 부재 등이 그 원인으로 꼽힌다.[7][8][9]

5. 1. 1990년대 이전

1990년대 이전의 대학가요제는 신인 음악인을 발굴하는 '등용문'이었다. 당시에는 음반 산업이 막 시작되던 시기였고, 음악인들이 성장하고 데뷔하는 정규 과정이 없었다. 음악인들은 대학가나 일부 클럽 등에서 공연하며 명성을 쌓은 뒤 소수의 프로듀서에게 발탁되었다. 취약한 미디어 체계와 변화하는 시대 상황 등으로 인해 예술에 대한 대중의 갈망은 컸고, MBC 대학가요제는 공영방송 주도의 프로그램으로 압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가요제로 자리매김했다.[5] 당시 대학가에는 '대학가요제 수상'을 목표로 학업은 뒤로 한 채 밴드 활동만 하던 학생들도 많았다.

초기 대학가요제는 참신한 노래와 신인 발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대학생의 상품화라는 비판도 받았다.[5]

5. 2. 1990년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음반 산업이 기업화되어 호황기를 맞이하였다. 특히, 이전까지 주류를 이루던 솔로 남성 가수나 가요제 출신 가수들과 달리 HOT와 SES 등의 아이돌 그룹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시기부터 '연습생'이라는 이름으로 외모, 실력 등을 키워 갖추게 하는 시스템이 생겼고, 기업화된 음반 회사들의 자금력 및 기술력을 바탕으로 가요계는 한층 성장하였다. 반면, MBC 대학가요제는 아직까지는 과거의 명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기업화된 기성 음악에 밀리고 가요제를 통해 '일약 스타'로 발탁되는 가수들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어지기 시작했다.[5] 지나친 상업화, 경쟁적인 가요제 개최로 수준 저하가 지적되기도 했다.[6] 이후에도 대중의 무관심이 지적되었는데, 그 주요 이유로 대학문화의 변화, 대학의 특수성 희석, 대중의 취향 변화, 가요계 진출 경로 다양화, 가요제의 권위 상실, 실험성이 강한 창작곡 부재 등이 제시되었다.[7][8][9]

5. 3. 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이후, MBC 대학가요제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점차 인기가 식고 위세가 약해졌다.

첫째, 음반 시장의 산업화가 심화되면서, 전문화된 회사에서 제작한 음악에 비해 대학가요제 출품작의 경쟁력이 떨어졌다. 작곡, 편곡, 인재 육성 등을 분담하고 자금력으로 성장하는 회사들과 달리, 대학가요제는 한 명이나 소수의 뮤지션이 모든 것을 담당해야 했다. 거대 음악 기업들은 자신들이 키우는 '연습생' 데뷔에 집중하면서 대학가요제는 창작을 위한 예술인들의 열정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인터넷 문화가 아직 정착되지 않아 많은 연예인들이 악플에 시달렸다. 최진실, 유니, 장채원 등 많은 연예인들이 악플로 인해 자살하는 사건이 2000년대 중후반에 발생했고, 이 시기 대학가요제 참가자들 역시 수상 논란, 표절 논란, 악플 등으로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2010년대 이후 케이블 방송 등에서 오디션 프로그램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대학가요제는 더욱 위축되었다. 오디션 프로그램은 창작곡이 아닌 가창만을 심사하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참여 폭을 넓혀, '작곡이 가능한 대학생'이라는 제한된 인원을 대상으로 하는 MBC 대학가요제보다 대중적 인기를 얻기 쉬웠다.

2006년 9월 30일 경북대학교 대운동장에서 열린 제30회 대학가요제에서는 '뮤즈그레인'이 네티즌들에게 인기를 얻었으나 수상하지 못해 논란이 일었다. 네티즌들은 수상자와 심사위원을 비판했고, 이에 대해 프로그램 PD는 문제가 없다고 일축했다.[10] 그러나 이후 대학가요제 수상자나 참가자 대부분이 가수의 길을 걷지 않았고, 소속사 등의 이권 없이 참가한 대학생들이었음을 고려할 때 당시 논란은 과도한 측면이 있었다. '뮤즈그레인' 멤버들 또한 이러한 반응에 부담을 느꼈다고 밝혔다.[11]

2007년 제31회 대학가요제에서도 일부 판정 시비가 있었다. '어쿠스틱 브라더스'가 대상을 받지 못하고 금상을 받은 것에 대해, 일부 누리꾼들은 심사위원 박해미가 유독 낮은 점수를 줬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2006년의 '뮤즈그레인' 논란과 달리 크게 문제화되지는 않았다. 오히려 대상팀이었던 B2의 노래가 표절 의혹을 받았다.[15][16] B2 측은 표절이 아니라고 밝혔고, 표절 대상으로 지목된 팀 측에서도 표절이 아니라는 의견을 밝혀 논란은 가라앉았다.[17]

6. 한국 대중음악계에 미친 영향

MBC 대학가요제는 197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젊은이들의 음악적 열정을 발산하는 장으로서, 한국 대중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기성 가요계와는 차별화된 신선하고 실험적인 음악들을 선보이며 대중음악의 다양성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대학가요제는 수많은 스타를 배출하며 가요계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했다. 샌드 페블즈의 〈나 어떡해〉, 배철수가 속한 활주로의 〈탈춤〉, 무한궤도의 〈그대에게〉, 전람회의 〈꿈속에서〉 등은 시대를 초월하여 사랑받는 명곡으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기존 가요계의 틀을 벗어나 참신한 음악 스타일과 가사로 젊은 세대의 공감을 얻어냈다.

또한, 대학가요제는 아마추어 음악인들에게 등용문 역할을 했다. 김동률, 이적, 유희열 등 현재 한국 대중음악계를 이끌어가는 주요 뮤지션들이 대학가요제를 통해 데뷔했다. 이들은 싱어송라이터로서의 역량을 발휘하며 한국 대중음악의 질적 성장을 이끌었다.

대학가요제는 단순한 경연 대회를 넘어, 젊은이들의 문화적 욕구를 반영하고 새로운 음악적 시도를 장려하는 축제의 장이었다. 이를 통해 한국 대중음악은 다양성과 실험성을 확보하며 발전할 수 있었다.

참조

[1] 뉴스 MBC '대학가요제' 36년만에 폐지된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3-07-02
[2] 문서
[3] 문서 현, 상림원 아파트
[4] 문서
[5] 뉴스 大學歌謠祭 바람직한가…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0-11-12
[6] 뉴스 MBC 대학가요제 「기성」흉내 경쟁무대 전락 경향신문 1992-12-15
[7] 뉴스 가요제 출신 가수들은 어디로 갔나 http://star.mt.co.kr[...] 스타뉴스 2009-05-01
[8] 뉴스 MBC 대학가요제, 존재 이유 전혀 없다 http://news.chosun.c[...] 뉴시스 2009-09-27
[9] 뉴스 대학가요제, 그 열정 어디가고…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6-10-20
[10] 문서
[11] 뉴스 대학가요제 수상결과 논란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7-10-07
[12] 뉴스 "<상 못 탄 뮤즈그레인 왜 네티즌 주목받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10-07
[13] 뉴스 '무관의제왕' 뮤즈그레인, "출연제의 와도 못나간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7-10-07
[14] 뉴스 대학가요제 대상팀 ‘JJMP’, 악플과 악성문자메시지에 시달려 https://news.naver.c[...] 헤럴드 생생뉴스 2007-10-07
[15] 뉴스 2007 대학가요제 대상곡 표절의혹 논란 https://news.naver.c[...] YTN STAR 2007-10-11
[16] 뉴스 대학가요제 대상곡 'Y' 표절 논란 https://news.naver.c[...] 스포츠조선 2007-10-11
[17] 뉴스 대학가요제 대상받은 b2, 표절 의혹 부인! https://news.naver.c[...] 스포츠서울 2007-10-11
[18] 뉴스 대학가요제 대상 B2 표절논란? "표절은 아니다" https://news.naver.c[...] 마이데일리 2007-10-11
[19] 뉴스 대학가요제 대상곡 '군계무학', 리쌍 '광대'를 표절? http://www.consumern[...]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2009-09-2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